최근 한국 초등학생들 사이에서 학기 중 해외여행 등 체험학습을 가지 않고 꾸준히 등교하는 학생들을 ‘개근거지’라고 부르는 용어가 등장해 논란이 되고 있다. 이러한 표현이 어린이들 사이에서 퍼지면서, 외국 언론도 한국의 이러한 ‘사회적 압박’ 문화를 주목하고 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6일 “개근거지는 누구인가? 일하고 공부만 하며 여유를 즐기지 못하는 한국 젊은이를 뜻한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한국 내 ‘개근’에 대한 시선이 변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SCMP는 전통적으로 개근이 미덕으로 여겨져 왔고, 성실함의 상징으로 평가받아 왔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최근에는 일과 여가, 놀이의 균형을 중시하는 경향이 늘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매체는 “한국 소셜미디어에서는 여가 시간이 많은 사람이 진정한 삶의 의미를 이해한다는 인식이 퍼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개근이 여행이나 휴식을 위한 자원을 쓰지 못하고 학업과 수입 창출에만 매달리는 것을 의미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기사에서는 최근 한국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화제가 된 초등학교 4학년 아들을 둔 한 아버지의 사연이 소개되었다. 이 아버지는 “아들이 친구들로부터 ‘개근거지’라는 말을 듣고 울며 속상해했다”고 전했다. 그는 학기 중 체험학습이 가능하다는 안내를 받았지만, 대부분의 가정이 해외로 떠난다는 사실은 몰랐다고 밝혔다.
이 아버지는 한 달 수입이 약 300만~350만 원으로 생활비와 집세를 내고 나면 여행 비용이 부족하다고 털어놓았다. 하지만 아들의 소원을 들어주기 위해 해외여행을 결심하게 되었다고 전했다. 국내 여행을 제안했으나, 아들은 “한국은 가기 싫다. 외국을 다녀오지 않으면 친구들 사이에서 창피하다”고 했기 때문이다. 결국 아버지는 아내와 상의하여 아내와 아들이 함께 외국으로 다녀오기로 했고, 저렴한 항공권을 찾고 있다고 했다.
SCMP는 전문가들의 의견도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개근거지’라는 용어가 물질주의와 성공에 대한 과도한 경쟁 속에서 사회적 압박을 반영한다고 분석했다. 아동 심리 전문가들은 이 용어가 어린이들에게 부정적인 심리적 영향을 줄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 전문가는 “어린 시절에 ‘개근거지’라는 말을 들으면 그 낙인이 평생 상처로 남을 가능성이 높다”고 강조했다.
이번 사례는 한국 사회가 성실함을 미덕으로 삼아온 전통 속에서도, 새롭게 등장한 여가와 삶의 균형을 추구하는 가치관의 충돌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