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5일 SK C&C 판교 데이터센터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해 카카오의 주요 서비스가 마비되면서, 카카오 및 다음 홈페이지 접속 시 나타난 ‘503 오류’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503 오류 메시지, 무엇을 의미할까?

17일 IT업계에 따르면, 15일 오후 3시 30분경 판교 데이터센터에서 화재가 발생한 이후 다음(Daum) 홈페이지 접속 시 ‘503 Service Temporarily Unavailable’이라는 메시지가 표시됐다. 이는 한국어로 ‘503 서비스를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없음’을 뜻하며, 하단에는 ‘nginx(엔진엑스)’라는 문구가 함께 나타났다.

카카오톡도 마찬가지 상황이었다. 카카오톡 로그인 화면에는 ‘카카오톡 로그인 서버에 연결할 수 없습니다. 사용자 네트워크 연결이 불안정하거나, 방화벽 설정으로 인해 접속이 차단되었을 수 있습니다. 오류가 반복되면 네트워크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오류코드 503, LO)’라는 안내가 표시됐다.

이러한 서비스 장애는 다음날인 16일 오전 1시 30분경 카카오톡과 다음 서비스가 복구되기까지 약 22시간 동안 이어졌다.

503 오류, 서버 과부하와 관련

503 오류는 HTTP(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응답 상태 코드 중 하나로, 웹 서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때 발생하는 오류 메시지다. 웹사이트에 접속하려면 사용자의 기기가 서버에 데이터를 요청하고, 서버가 해당 요청을 처리해 응답해야 한다. 하지만 503 오류는 서버가 현재 요청을 처리할 수 없는 상태임을 의미한다.

503 오류는 일반적으로 서버가 과부하 상태에 있거나 유지보수 중일 때 발생한다. 예를 들어, 웹사이트에 갑작스럽게 접속자가 폭증하거나, 서버가 물리적인 문제로 인해 작동이 중단될 경우 503 오류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503 오류 메시지는 ‘nginx’라는 웹 서버 기술을 기반으로 표시된다. nginx는 오픈 소스 웹 서버 기술로, 카카오뿐만 아니라 네이버 등 여러 IT 기업에서도 사용하고 있다.

다른 HTTP 오류 코드와 차이점

503 오류와 함께 자주 등장하는 다른 HTTP 응답 코드도 있다.

  • 5XX 오류: 서버 측 문제로 인해 요청을 처리할 수 없을 때 발생한다. 503 오류는 서버가 일시적으로 응답할 수 없을 때 나타난다.
  • 4XX 오류: 사용자의 요청이 잘못되었을 때 발생한다. 예를 들어, 잘못된 URL 입력이나 특수문자 사용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 3XX 코드: 특정 웹페이지가 다른 위치로 이동했음을 나타내는 리다이렉션 관련 코드다.
  • 2XX 코드: 요청이 정상적으로 처리되었음을 의미하는 성공 응답 코드다.
  • 1XX 코드: 요청이 접수되었고 처리가 진행 중임을 나타내는 코드지만, 일반적으로 자주 사용되지는 않는다.

IT업계의 분석

IT업계 관계자들은 503 오류가 장시간 지속된 점에 주목하고 있다. 한 관계자는 “503 오류가 표시된다는 것은 서버가 과부하 상태이거나 완전히 작동을 멈춘 상태라는 것을 의미한다”며 “일반적으로 긴급 대응을 위해 대체 서버(핫사이트)를 준비하지만, 오랜 시간 오류가 지속됐다는 것은 개발자 입장에서 마땅한 해결책이 없었다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번 사고로 인해 데이터센터 운영의 중요성이 다시 한번 부각된 가운데, 카카오는 향후 유사한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추가적인 대응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